간단하게 인라인 블록(Inline-Block) 설정하는 방법

2024. 5. 2. 06:55·Blog/Tistory

인라인블록

블로그에 글을 작성할 때 인라인 블록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텍스트와 함께 사용 가능: 인라인 블록은 텍스트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글의 일부분에서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링크를 삽입하는 등의 작업에 유용합니다.
  • 이미지와 함께 사용 가능: 이미지를 인라인 블록으로 삽입하면 텍스트와 함께 자연스럽게 흐르며, 레이아웃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간단한 스타일링: 인라인 블록을 사용하여 텍스트나 이미지에 간단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글에서 특정 부분을 굵게 표시하거나, 링크를 다르게 스타일링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합니다.
  • 레이아웃 유연성: 인라인 블록을 사용하여 여러 요소들을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하거나, 텍스트와 이미지를 함께 배치하는 등의 다양한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블로그에 글을 작성할 때 인라인 블록을 사용하면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독자들에게 더 흥미로운 글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 -------- 글자 코드 박스 설정하기 -------- //
const article = document.querySelector('.tt_article_useless_p_margin');
article.querySelectorAll('p s, li s, table s').forEach((el) => {
if (el.children.length > 0) {
if (el.querySelector('span')?.style?.color) el.querySelector('span').classList.add('textBlock');
else el.classList.add('textBlock');
} else {
el.classList.add('textBlock');
}
});

이렇게 티스토리에 바로적용가능 하도록 스크립트를 만들었습니다. 이 스크립트의 사용방법은 티스토리에서 새로운 글을 작성하실 때 텍스트 가운데 선을 긋는 아이콘(취소선)을 선택하여 사용가능합니다.

자바스크립트 설명

이 스크립트는 특정 클래스(.tt_article_useless_p_margin)에 속한 요소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p>, <li>, <table> 태그 안의 <s> 태그들을 찾습니다. 그런 다음, 각 <s> 태그에 대해 아래 정보와 같은 수행을 합니다.

1. 만약 태그 안에 자식 요소가 있다면,

  • 태그가 스타일 속성으로 색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 그 안의 태그에 textBlock 클래스를 추가합니다.
  • 그렇지 않으면, 태그에 textBlock 클래스를 추가합니다.

2. 만약 태그 안에 자식 요소가 없다면,

  • 태그에 textBlock 클래스를 추가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페이지의 특정 부분에서 태그에 대해 특정한 스타일 또는 클래스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디자인 CSS

.tt_article_useless_p_margin .textBlock {
 margin: 0 2px;
 color: #e96900;
 padding: 2px 5px;
 font-size: 0.9em;
 border-radius: 5px;
 background-color: #f8f8f8;
 position: relative;
 border: #f0f0f0 1px solid;
}

스크립트가 준비되었으니, 이젠 스크립트로 만들어지는 클라스에 디자인을 해야 합니다. 위 css코드는 완성된 모습을 보여드리기 위해 임으로 만든 css코드입니다.

완성된 모습

  1. A, S, D, F
  2. 박스 안에 입력된 텍스트

이런 식으로 인라인블록처럼 만들 수도 있으며, 박스 안에 입력된 텍스트도 만들 수 있습니다. 자신의 블로그(사이트) 글 작성 스타일에 맞게 스크립트 또는 CSS를 수정하셔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마무리

티스토리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기 위해 서식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서식 사용하는 것도 귀찮을 때 이런 방법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부득이하게 스킨을 교체한다거나 할 때 잘못된 서식으로 작성된 글은 하나씩 수정을 해야 하지만 스크립트로 작성된 글은 스크립트만 수정하면 돼서 어떻게 보면 블로그를 관리하는데 더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Blog > T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스 클릭 효과로 사용자 경험 향상하기  (0) 2024.11.09
티스토리 html 서식활용 적당히 해야 좋습니다.  (0) 2024.11.08
서치콘솔 서버 오류(5xx) 원인과 해결 방법  (0) 2024.06.07
서치콘솔 '다른 4xx 문제로 인해 차단됨' 간단 해결 방법  (0) 2024.05.23
웹페이지(블로그, 사이트) 로딩 화면 추가하는 방법  (0) 2024.05.09
콘솔 오류 initHighlightingOnLoad() 원인과 해결방법  (0) 2024.04.28
제목을 한 줄로 표현하는 말 줄임... CSS 코드  (0) 2024.04.15
lightbox 대신 사용하면 좋은 FancyBox 라이브러리  (0) 2024.04.10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 서치콘솔 '다른 4xx 문제로 인해 차단됨' 간단 해결 방법 2024. 5. 23.
  • 웹페이지(블로그, 사이트) 로딩 화면 추가하는 방법 2024. 5. 9.
  • 콘솔 오류 initHighlightingOnLoad() 원인과 해결방법 2024. 4. 28.
  • 제목을 한 줄로 표현하는 말 줄임... CSS 코드 2024. 4. 15.
  • Urbane
    YOUKU
    Urbane
    • ROOT (32)
      • Review (14)
        • Movie (7)
        • Drama (7)
      • Blog (18)
        • Tistory (18)
  • 전체
    오늘
    어제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4
Urbane
간단하게 인라인 블록(Inline-Block) 설정하는 방법
상단으로
YOUKU
여러 가지 유익한 콘텐츠를 다루며, 생산적인 활동을 도모하는 YOUKU입니다.
Since. 2024.04. -
Copyright 2024 Urbane all rights reserved

HOME

MENU

THEME

TOP

Please wait...

티스토리툴바